워드프레스 3초 로딩 체크로 속도·체류·심사 한 번에 잡자
왜 ‘3초’가 기준일까요?
블로그의 접속 속도는 체류·전환·검색·광고수익을 동시에 좌우합니다.
특히 첫 방문에서 3초를 넘기면 이탈이 가파르게 늘어납니다. 아래의 항목만 점검해도 체감이 완전히 달라집니다.
핵심 12가지
- 이미지 WebP: 업로드 시 WebP/AVIF로 자동 변환, 1200×630 대표 이미지만 원본 보관하십시오. 간단히 플러그인(모던 이미지 포맷 등)으로 쉽게 업로드 시 변환하실 수 있습니다.
- Lazy Load: 접히는 영역 아래 이미지는 지연 로딩하고 첫 화면만 선명하면 됩니다.
- 썸네일 일관화: 목록·본문 썸네일 크기를 통일해서 리플로우(레이아웃 흔들림)를 없앱니다.
- 폰토 최적화: 웹폰트 1종/두께 2단계 이하,
display=swap
계열 사용하고 로컬 서브셋을 권장합니다. - 캐시 3종: 브라우저 캐시, 페이지 캐시, 객체 캐시는 겹치지 말고 한 플러그인으로 일원화 합니다.
- 불필요 플러그인 정리: 플러그인의 기능이 겹치면 무조건 하나만 남깁니다.. 활성화 플러그인은 15개 내외로 합니다.
- CSS/JS 병합·지연: Above-the-fold CSS만 인라인으로 하고 나머지는 지연 로딩으로 하며, 서드파티 스크립트를 최소화 합니다.
- 이미지 CDN: 이미지 전용 CDN으로 엣지 제공합니다. 지역 사용자에 가까울수록 빠릅니다.
- DB 최적화: 개정 이력·자동 저장본 정리하고 크론 주기 점검합니다. 주 1회면 충분합니다.
- 테마 선택: 블록 기반 경량 테마와 시스템 폰트를 우선합니다.
- 광고 위치: 첫 화면을 가리는 전면 광고를 금지 합니다. 본문 상/중/하에 균형 배치 합니다.
- 품질 점검 루틴: 글 게시 전/후에 Lighthouse·PageSpeed로 LCP·CLS만 봐도 반은 해결됩니다.
자주 하는 실수(반려·지연 포인트)
- 같은 기능의 플러그인을 둘 이상 켜서 충돌하는 경우
- 썸네일 크기가 제각각이라 페이지가 흔들림(CLS 상승)
- 대표이미지 JPG 수백 KB로 그대로 업로드(모바일 LCP 악화)
- 첫 화면을 덮는 팝업/전면 광고 (사용자 경험 저해합니다.)
운영 루틴
- 새 글 게시 후 모바일 데이터로 직접 접속해 체감 속도를 체크하시기 바랍니다.
- LCP가 느리다면 첫 이미지 용량을 줄이고 폰트, 스크립트 지연, 히어로 섹션을 단순화 하시기 바랍니다.
- CLS가 높으면 썸네일·광고 영역 고정 크기 지정, 폰트 교체/서브셋을 적용합니다.
- 월 1회 플러그인 정리, 분기 1회 이미지·DB 정리, 반기에 1회 테마/호스팅 점검하시기 바랍니다.
- 속도는 ‘한 번에 끝’이 아니라 지속적인 관리 습관 입니다.
“정부의 중소기업 정책자금 지원 외에도, 개인에게 유용한 금융 혜택이 있습니다. 청년미래적금 완벽 가이드”
“본 글은 정보 제공 목적이며, 세부 절차·정책은 각 기관/서비스 공지를 확인하세요.”